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는 버스를 타기 위해 현금이나 작은 엽전 모양의 '토큰', 또는 종이로 된 '회수권'을 준비해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버스 요금을 현금으로 지불하는 경우, 잔돈을 거슬러주고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토큰이나 회수권을 탑승 전 미리 구입하는 식으로 불편을 덜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편리함 덕분에 버스 토큰은 빠르게 상용화되었지만, 버스 요금이 오르기 전 사재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인상 때마다 토큰 색상을 변경해야 했습니다. 발 빠르게(?) 토큰을 미리 구입한 시민들은 결국 인상 금액을 추가로 내고 새 토큰으로 바꾸는 수고를 감수해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토큰에 비해 싼 가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었던 회수권은 1회 사용 후 폐기해야 하는 환경문제도 있었지만, 종이로 제작되다 보니 위조가 쉬워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등장한 버스 카드! 앞의 문제점들이 모두 보완되어 편리함으로 무장했지만,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던 공급과 카드 충전시설의 부족으로 사용에 불편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는 버스 안에서 거스름돈이나 10장이 11장으로 바뀌는(?) 회수권 때문에 실랑이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교과서 사이에 끼워 둔 회수권을 발견하는 행운이나, 지역마다 달랐던 회수권을 모으는 재미도 사라진지 오래죠. <br /> <br />그때 그 시절, 버스 요금 지불 수단의 변천사를 이번 주 상암동 비디오를 통해서 보여드립니다! <br /> <br />저작 : 최연호 [cyh0811@ytn.co.kr] <br /> <br />#YTN #상암동비디오 #레트로 #라떼는말이야 #추억소환 #90년대 #버스 #토큰 #회수권 #버스카드 #오라이 #잔돈 #엽전 #저이번에내려요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연호 (cyh081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1423005305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